AI랑 논문 읽기 꿀팁!

더이상 혼자서 외롭게 논문을 보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최근 AI 기술 덕분에 논문을 읽는 방식이 완전히 바뀌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논문 하나 읽는 데도 시간이 오래 걸리고, 영어로 된 논문은 번역기를 켜놓고 한 줄씩 해석하느라 진이 빠졌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AI가 논문 요약부터 번역, 심지어 Q&A까지 더이상 혼자서 논문 내용을 습득하기 위해서 전전긍긍하지 않아도 됩니다.

Lilys.ai, Moonlight, Arphaxiv, NotebookLM 등 다양한 툴들을 활용하신다면 여러분들의 지식 습득이 더 빠르고 효율적이 될겁니다.

여러 논문을 한번에 볼 수 있다면?

관심 분야에 대한 학습을 위해서 논문을 찾아보곤하는데요. 논문 하나하나에 대한 분석이 아닌 관심 분야에 대한 학습이 목적이라면 Lilys.ai를 활용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관심 분야에 대한 논문들을 추가하고 한번에 전체적인 요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요약으로 개요를 이해하고, 필요하다면 하나하나의 논문 파일을 자세히 들여다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PDF 번역은 덤입니다.

Lilys.ai의 가장 큰 장점은 3-스텝으로 정말 간단하다는 점입니다. 업로드 → 원클릭 요약 → 다양한 포맷 내보내기로 끝이거든요. 무료 사용이 가능하고 (무료는 제약이 있습니다), 대화체 요약은 새로운 학습 방법을 제시합니다.

특히 인용문이 원문 위치와 연결되어 있어서, 요약된 내용이 어디서 나온 건지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점이 정말 유용합니다. 또한 논문과 관련된 YouTube 영상이나 웹사이트 링크도 요약해주니까 논문 외에도 다양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집니다.

Lilys.ai 화면 (www.lilys.ai)

논문 한 편을 제대로 파고들고 싶다면

문라이트라는 국내 스타트업의 서비스를 사용하면 논문을 보다 효과적으로 그리고 집중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논문의 요약, 필요한 부분 번역, 이미지 설명, 그리고 추가 검색까지 AI를 기반으로 한 논문에 특화된 PDF 리더입니다! 대학생, 대학원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앱이나 크롬 확장 프로그램으로 쉽게 시작해볼 수 있습니다.

Moonlight의 강점은 읽는 중에 세밀한 Q&A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복잡한 수식이나 그래프에 마우스를 올리면 바로 설명이 나오고, 이해 안 되는 부분은 바로 질문할 수 있어요. 하이라이트 기능이나 Smart Citation 같은 기능들도 논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문라이트 앱 화면

AI 논문 읽기 워크플로우

AI를 활용한 효율적인 논문 읽기 과정을 단계별로 나누면 이렇습니다:

1단계: 논문 발견 및 빠른 선별

AlphaXiv를 활용하면 arXiv의 최신 논문들을 트렌딩 순으로 볼 수 있고, 다른 연구자들의 실시간 코멘트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스타일로 개요를 생성해주니까 논문의 핵심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요.

2단계: 초스피드 요약으로 핵심 파악

관심 있는 논문을 찾았다면 Lilys.ai에 PDF나 URL을 붙여넣어서 초간단 요약을 확인해보세요. 클릭 한 번으로 구조화된 요약을 볼 수 있고, 인용 연결 기능으로 출처도 바로 확인 가능합니다.

3단계: 깊이 있는 읽기

꼭 읽어야 할 논문은 Moonlight로 열어서 세부 해설과 함께 정독하시면 됩니다. 문장이나 도형 단위로 설명을 들을 수 있고, 하이라이트나 번역 기능도 활용할 수 있어요.

4단계: 여러 문서 통합 정리

NotebookLM을 사용하면 여러 논문과 개인 노트를 통합 관리할 수 있습니다. 완독한 PDF와 요약을 올려서 다른 관련 자료와 교차 비교하고, Gemini 기반 Q&A로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어요.

상황별 도구 추천 정리

상황추천 도구이유
빠르게 여러 논문 훑어보기Lilys.ai원클릭 요약, PDF 번역
한 편을 제대로 분석하기Moonlight세밀한 Q&A, 이미지/수식 해설
최신 트렌드 파악하기AlphaXiv트렌딩 피드, 커뮤니티 피드백
연구 노트 정리하기NotebookLM다중 소스 통합, 지식 구조화

[표] 논문 서비스 추천

마무리

이런 AI 도구들을 조합해서 사용하면 논문 읽기가 정말 효율적으로 바뀝니다. 예전처럼 하나하나 번역하면서 고생할 필요도 없고, 핵심만 빠르게 파악해서 시간도 절약할 수 있습니다.

특히 대학원생분들이나 연구하시는 분들에게는 정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각 도구마다 특징이 다르니까 상황에 맞게 활용해보시고 자신에게 맞는 툴을 활용하거나 여러 툴을 조합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AI에 너무 의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AI는 시간을 단축시켜주고 나의 생각을 정리하는데에 도움을 주는 조력자, 동료 같은 느낌으로 활용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시간을 단축시켜준다고 무작정 AI만을 활용하다가는 정보의 과부화에 빠지거나 정리가 되지 않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AI의 활용은 나의 지식을 더 풍부하게 하는데 활용되어야 합니다.


[소개 페이지 정보]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