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루 종일 바빴는데, 정작 뭘 했는지 기억이 안 나는 이상한 하루들
하루종일 정신없이 뭔가를 했는데… 아침부터 저녁까지 쉴 틈 없이 뭔가를 했는데, 막상 “오늘 뭐 했지?”라고 되물어보면 선뜻 답을 찾기 어렵던 경험이 있지 않나요.
혹시 여러분도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이런 일상의 아이러니는 우리가 일상의 본질에 집중하지 못한채, 부가적인 것들에 시간을 소비하고 정작 중요한 의미가 있는 본질에는 소홀하게 되는 것에서 온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런 일상의 아이러니를 줄여보고자 어바웃코어랩을 시작해보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들
시간은 쓰고 있는데, 삶은 쌓이지 않는 이유
어바웃코어랩을 시작하면서 가장 많이 고민했던 질문이 있어요.
“우리는 정말 본질적인 것에 시간을 투자하고 있을까?”
집에서, 직장에서, 학교에서… 어디에서든 우리는 바쁘게 살고 있어요. 하지만 정말 솔직하게 말씀드리면, 그 시간의 대부분이 부가적인 것들에 쓰이고 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볼게요.
집에서의 하루를 생각해보세요. 아이들과 함께 보내는 소중한 시간을 만들고 싶어서 일찍 퇴근하거나 혹은 정말 오늘은 푹쉬고 싶어서 일찍 집으로 돌아왔음에도 불구하고, 막상 집에 도착하면 쌓여있는 빨래, 정리되지 않은 집안, 내일 준비 등 부수적인 것들로 인해서… 아이와 진짜 대화를 나누고 함께 놀아주는 시간은 미뤄지고 나만의 휴식시간은 없어지더군요.
직장에서도 마찬가지예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야하는 일을 하고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자료 수집하고, 포맷 맞추고, 회의용 PPT 등 문서를 작성하는데 며칠을 보냅니다. 정작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작업에는 시간이 부족해지죠.
카페나 레스토랑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은? 고객들에게 정말 맛있는 음식과 따뜻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어서 가게를 시작했는데, 실제로는 재고 관리, SNS 마케팅, 세금 신고, 직원 관리 등등… 정작 고객의 경험이나 메뉴 개발에는 시간을 투자하기 어려워요.
프리랜서나 1인 사업을 하시는 분들도 그래요. 자신만의 콘텐츠로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고 싶은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글 작성, 앱 만들기, 홍보하기 등등 정작 핵심적인 양질의 콘텐츠에 대한 고민을 하는 시간은 줄어들죠.
학생들의 학습은 다를까요? 강의를 듣고 별도 스터디를 하고 새로운 지식을 내 것으로 만드는 것에 집중해야하는 데 필기를 받아적기 바쁘고 논문을 번역하는데 시간을 투자하고 결국 내 것으로 만드는 시간은 부족하죠.
운동이나 건강 관리도 마찬가지예요. 본질은 내 건강과 운동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하는가 인데? 돌아보면 건강관련 정보를 기록하느라, 운동 내용을 기록하느라, 카운팅을 하느라 정작 본질에는 소홀해지죠. 스쿼트를 예로 들면 정확한 자세로 하기를 신경쓰기보다는 언제부턴가 개수 카운팅에 몰두하는 나를 발견하는 것과 같습니다.
부가적인 것들이 삼켜버린 본질
이런 것들은 우리는 부가적인 일들에 시간을 적지 않게 투자하고 있고, 그로 인해 정작 일상의 본질에는 충분한 시간을 투자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입니다.
이게 바로 어바웃코어랩이 주목한 핵심 문제예요. 시간은 분명히 쓰고 있는데, 삶이 쌓이지 않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생각해요.
어바웃코어랩의 접근: “본질에 집중한다는 것”
시간 배분의 혁신적 전환
어바웃코어랩은 단순히 “효율성”을 추구하는 곳이 아닙니다. 일상의 본질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다고자 합니다.
우리가 추구하는 것은 이런 전환입니다:
- 부가적인 것 80% + 본질적인 것 20% → 부가적인 것 20% + 본질적인 것 80%
이 비율의 전환이 일어나면, 같은 24시간이라도 전혀 다른 삶의 질을 경험할 수 있다고 믿어요.
본질과 부가를 구분하는 새로운 기준
어바웃코어랩에서는 모든 활동을 이 기준으로 바라봅니다:
“이 일이 내 삶의 진짜 목표와 가치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가?”
- 본질적인 것: 가족과의 깊은 대화, 창의적 사고, 문제 해결, 진정한 학습, 의미 있는 휴식
- 부가적인 것: 정리, 번역, 리서치, 반복 업무, 단순 관리 작업
물론 부가적인 것들이 필요 없다는 건 아닙니다 그리고 누군가에게는 부가적인 것의 예시가 본질이 될 수도 있죠. 포인트는 본질을 이해하고 그 본질에 시간을 투자하기 위해 부가적인 것들을 리스트업하고 어떻게 줄일 수 있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어바웃코어랩의 연구 방향
1. 기술을 통한 부가업무 최소화
AI 기술을 활용해서 부가적인 업무들을 최대한 줄여보려고 해요. AI의 시대가된 요즘 AI를 어떻게 활용하는가? 는 내가 얼마나 일상의 본질에 집중할 수 있는가? 와 직결된다고 생각해요
- 반복적인 리서치 작업을 AI가 대신 처리하게 해서, 인사이트 도출에 집중
- 스마트홈 기술로 집안 관리를 자동화해서, 가족과의 시간 확보
- 업무 자동화 도구로 단순 반복 작업을 줄여서, 창의적 업무에 집중
2. 본질 중심의 사고법과 습관
기술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부분들이 있어요. 근본적인 사고의 전환이 필요한 거죠.
- “이 일이 정말 내가 해야 하는 일인가?” 질문하는 습관
- 본질과 부가를 구분하는 판단 기준 만들기
- 본질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과 루틴 설계
3. 실용적인 라이프 해킹
일상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들도 연구해요.
- 시간 투자 비율을 바꾸는 실전 노하우
- 부가업무를 최소화하는 환경 설계법
- 본질적 활동의 질을 높이는 방법들
시간이 귀한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
바쁨
에서 의미
로의 전환
요즘 시대는 정말 시간이 귀해요.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바쁘게 사는 것”과 “의미 있게 사는 것”을 동일시하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어바웃코어랩은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하고 싶어요. 바쁨이 아닌 의미에 집중하는 삶을 만들어가고 싶습니다.
실제로 우리가 추구하는 것은:
- 더 많은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더 중요한 일에 집중하는 것
- 시간을 절약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올바른 곳에 투자하는 것
- 효율적으로 사는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사는 것
이런 노력들은 결국 나를 시간의 부족에서 해방 시켜줄 수 있고, 어쩌면 우리의 삶을 좀 더 여유롭게 살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을 것입니다.
개인을 넘어선 사회적 변화
이런 변화가 개인에게만 머물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회사에서도, 학교에서도, 사회 전체에서도 “이게 정말 본질적인 일인가?” 를 질문하는 문화가 퍼졌으면 해요.
그러면 모든 구성원들이 더 의미 있는 일에 집중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결과들이 나올 거라고 믿어요.
“Focus on your essential life” – 어바웃코어랩이 추구하는 가치
핵심 메시지: 시간 배분의 혁명
어바웃코어랩의 궁극적인 목표는 단순명확합니다.
“하루 24시간 중 80%를 본질적인 것에, 20%만 부가적인 것에 투자하는 삶”
지금까지 우리가 살아온 방식과 정반대입니다. 그동안은 부가적인 것들이 80%를 차지하고, 정작 중요한 것에는 20%밖에 투자하지 못했거든요.
이 비율이 뒤바뀌는 순간, 같은 하루 24시간이라도 전혀 다른 차원의 삶을 경험하게 될 거예요.
우리가 만들어가고 싶은 변화
일상의 본질, 핵심에 더 집중하고 가치를 두는 변화를 만들고자 합니다.
그 가치들은 아마도 이런 것들이 아닐까 합니다.
- 아이와의 의미있는 시간
- 창의적 사고를 하는 시간
- 실제 나의 지식으로 만드는 시간
- 진정한 휴식을 즐길 수 있는 시간
함께 만들어가는 실험
어바웃코어랩은 이런 삶을 추구하는 방법이나 노하우를 공유하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혼자서는 어려운 일이지만, 같은 고민을 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서로의 경험을 나누고, 새로운 방법을 시도해보고, 실패와 성공을 공유하면서 점점 더 나은 방법들을 찾아갈 수 있을 거라고 믿어요.
앞으로 어바웃코어랩에서는 이런 삶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오늘부터 시작하는 작은 변화
저도 오늘 하루를 마무리하시면서 한 번 다시 돌아보려고 합니다.
“오늘 하루 중에서 정말 본질적인 것에 얼마나 시간을 투자했는가?”
그리고 내일은 조금이라도 더 본질적인 것에 집중해보려는 노력을 하고 작은 변화부터 만들어보고자 합니다.
현대인의 시간은 정말 귀합니다. 더 현명하게, 더 의미 있는 가치에 시간을 투자해서 진정으로 윤택하고 여유로운 삶을 같이 만들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바웃코어랩